논문제목 : 영화 <명당>의 시나리오에 관한 연구:밸런스(Balance)와 주요캐릭터를 중심으로
저자 : 이병민(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제25집
발행처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연구소
주제어 : <명당>, 풍수, 밸런스, 캐릭터, 긴장, 이완, 입체성, 복합성
<요약>
영화 <명당>은 음택(陰宅)풍수를 다루며 조선 말기의 정치적 상황에 상상을 불어넣은 사극영화이다. 지관 박재상과 흥선군의 두 캐릭터가 더욱 매력적인 인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점과 좀 더 많은 관객이 이야기를 흥미롭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두 지향점을 중심으로 볼 때, 이 영화의 시나리오가어떠한 변신을 하면 좋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시나리오에서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적절하게 선악대결에서의 팽팽한 균형과 긴장과 이완의 적절한 배합을 이루는 측면을 ‘밸런스(Balance)’라 명명하고 이를 통해 <명당> 시나리오에 대해 분석한다. 그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흥선군과 박재상이 김좌근과 대결을 벌이는 중에 발생하는 긴장과 몰입의 과정에 중간 중간 관객에게 웃음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이완(relaxation)을 배합하여 선악 대결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는 밸런스(balance)가 요청된다는 것이다. 둘째, 박재상과 흥선군 캐릭터가 다소 평면적(平面的)이기에 관객이 동질감을 느끼고 동일시할 수 있는 결함과 나약함을 지니는 인물이어야 하며 진지함과 엄숙함 외에도 웃음을 주는 개성도 함께 겸비한 입체성과 복합성을 지닌 캐릭터가 되게 하는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풍수가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중심으로서 명확히 자리 잡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박재상이 민중들을 위해 풍수를 생활 속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돕는 장면들이 더 보충되고 이로써 흥선군과 박재상의 지지세력이 점점 늘어나고 그들이 더 강대해진다는 기대를 하게 되는 에피소드들이 더욱 추가되었으면 좋았을 것이다.
It is a historical drama film that deals with Fengshui on graves in the Film FENGSHUI and infuses imagination in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It discusses what kind of transformation the movie’s scenario should make,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two characters, land-Reader Park Jae-sang and Heungseon-gun, can transform into more attractive characters and the two directions that make the story more interesting to the audience. In constructing the story in the scenario, the aspect that properly forms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tight balance, tension, and relaxation in a good and bad confrontation is named 'balance', and through this, FENGSHUI scenario is analyz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First, a balance is required to properly balance good and bad confrontations by combining appropriate relaxation that can give laughter to the audience in the middle in the process of tension and immersion that occurs during Heungseon-gun and Park Jae-sang's confrontation with Kim Jwa-geun. Second, since Park Jae-sang and Heungseon-gun characters are somewhat flat, they should be characters with defects and weakness that the audience can feel and identify with, a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m to become three-dimensional and complex characters that give laughter in addition to seriousness and solemnity. Third, Fengshui should have been clearly established as the center of the story. For example,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more scenes were added to help Park Jae-sang properly utilize Fengshui for the people in his
daily life, adding more episodes that led to Heungseon-gun and Park Jae-sang's increasing support and expect them to become stronger.
[16890]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152 단국대학교 상경관 317호·527호·530호
TEL.031.8005.2667
FAX.031.8021.7244
MAIL.hkplus@dankoo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