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김세종, 퇴계 이황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의 후대 전승에 관한 연구, 2023.03

  • 작성자: admin(단국대)
  • 작성일: 2023.05.12
  • 조회수: 1140

논문제목 퇴계 이황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의 후대 전승에 관한 연구

          

저자 : 김세종(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 유교사상문화연구 제91집

           

발행처 : 한국유교학회

             

주제어 : 퇴계(退溪), 이황(李滉), 성학십도(聖學十圖),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도설(圖說)

 

<요약>

본 논문은 퇴계의 성학십도에 수록되어 있는 제6도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가 퇴계 이후 조선 학계에서 어떻게 전승되었는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고, 이를 위해 두 가지 주제를 구체화했다. 첫째, 퇴계의 <심통성정도> 중도에 표기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방위 배치는 최종적으로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방위 배치는 후대에 제작된 <심통성정도>에서 어떻게 계승되는가. 둘째, 퇴계 이후 조선 학계에서 제작된 <심통성정도>는 퇴계가 그린 형태만을 계승하는가 아니면 다른 형태로도 제작되는가. 이상의 목적과 문제의식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퇴계의 <심통성정도> 중도는 위를 북쪽이자 지(智), 아래를 남쪽이자 예(禮)로 설정하고, 그림을 바라보고 오른쪽이 동쪽이자 인(仁), 왼쪽이서쪽이자 의(義)의 방위 배치가 최종 의견이고, 이는 1572년 이전에 해주감영에서 판각된 판본이다. 또한 <심통성정도>는 퇴계 이후 여러 학자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그 양상은 네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퇴계 <심통성정도> 형태를 계승한 도설, 둘째는 다른 형태의 <심통성정도>로서 제목만 같고 도는 다른 경우, 셋째는도설명은 다르지만 퇴계의 도설 형태를 계승한 도설, 넷째는 퇴계의 방위표기와 같은 방위표기를 한 도설 등이다. 이 결과 퇴계의 최종본에 표기된 인의예지의 방위는 정시한의 <심통성정도>만이 계승하고 있다. 또 퇴계 이후 제작된 <심통성정도>는 10편이 넘지않고, 그러한 도설은 퇴계가 그린 형태만이 아니라 정복심이 그린 형태를 모방한 <심통성정도>도 제작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how Toegye's was transmitted in Joseon academia after Toegye. To this end, two themes were specified. First, what is the final orientation of Inuiyeji(仁義禮智) marked in Toegye's ? And how is this direction inherited in produced later? Second, is produced after Toegye inherited only the form of Toegye or is it produced in other forms as well? The discussion on the above topic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final opinion of Toegye's is that the top is north and Ji (智), the bottom is South and Ye (禮), the right side is East and In (仁), and the left side is West and Ui (義). In addition, after Toegye was produced by several scholars, and its aspect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first is Doseol, which inherited the form of Toegye . The second is a different type of , in which the title is the same but the degree is different. The third is Doseol, which has a different name but inherits the form of Toegye. The fourth case is the same as Toegye's direction notation.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Inuiyeji(仁義禮智) marked in the final version of Toegye is inherited only by Jeong Sihan's . Lee Jae-hyung's Doseol is the only one that inherits this direction from other types of Doseol. Also, produced after Toegye does not exceed 10 pieces. Among them, not only Toegye's form, but also , which imitated the form drawn by Jeongboksim, was also produc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