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한성구, 중국 근대 불학 부흥의 원인과 철학사적 의의, 2022. 10

  • 작성자: admin(단국대)
  • 작성일: 2022.10.18
  • 조회수: 4133

논문제목 중국 근대 불학 부흥의 원인과 철학사적 의의

 

저자 : 한성구(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 중국학논총 제75집

 

발행처 : 한국중국문화학회 

 

주제어 中国、近代、佛学、佛教、唯识学、唯识无境、梁启超、谭嗣同 ;  China ;  Modern ;  Consciousness - only Theory ;  Modern Buddhism ;  중국 ;  근대 ;  불학 ;  불교 ;  유식학 ;  유식무경 ;  양계초 ;  담사동

 

<요약>

불교는 중국 근대를 이해하는 핵심적인 키워드이다. 서구 열강의 침략 속에서 수많은 중국의 지식인들은 새로운 가치관과 인생관, 개혁의 방향성과 동력, 서양문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론과 사상적 대안을 절실하게 필요로 했다. 그들은 그것을 불교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특히 불교가 가진 무신론적 성격은 근대적 종교로서의 참신함을 느끼게 해 주었고, 개인의 각성을 통한 의지의 고양은 개혁 운동에도 큰 도움을 주었다. 불교가 가진 자유와 평등의 이미지는 전통 유교 문화의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했으며, 개념과 논리를 중시하는 불교 논리학은 서구 사상을 이해하고 거기에 대항하는 전통적인 근거를 마련해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근대에 불교가 부흥하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그것이 유식학으로 수렴되는 과정을 통해 중국 근대 불교 부흥의 철학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