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김묘정, 학문적 계보와 지식권력의 상관관계 고찰을 위한 試論 -北人계열 문인들의 학문적 계보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2022.09

  • 작성자: admin(단국대)
  • 작성일: 2022.10.04
  • 조회수: 1604

논문제목 : 학문적 계보와 지식권력의 상관관계 고찰을 위한 試論 - 北人계열 문인들의 학문적 계보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저자 : 김묘정(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조교수)

 

등재지 : 동양고전연구 88

 

발행처 : 동양고전학회

 

주제어 : 북인 ; 학문 ; 계보 ; 학파 ; 지식 ; 지식권력 ; bukin ; academic ; genealogical ; school ; knowledge ; knowledge power

 

<요약>

이 글은 北人계열 문인들의 학문적 계보에 관한 연구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학문적 계보와 지식권력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기 위한 試論 형태로 작성된 것이다. 이에 이 글은 끊임없는 질문에 대한 연구 방법론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를 통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의문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이에 첫 번째로는 北人계열 문인들의 학문적 계보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을 끊임없이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두 번째로는 북인계열 문인들이 어떠한 지식을 획득한 학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또 그와 같은 지식기반을 중심으로 학문적 동질성을 가지는 문인집단의 형태로 결집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이에 먼저 논의의 전제를 마련하기 위해 2장에서는 지식권력의 개념을 정리한 후 지식권력과 학문적 계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지식이라는 개념을 정의하는 작업에서 나아가 어떤 지식이 권력을 획득하였으며, 또 계승됨으로써 그 권력을 유지하는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지식은 광범위한 학문에서 논의될 수 있는 용어이나, 이 글에서는 특정 학파의 사상적, 문학적 특징을 지칭하는 것으로 범주를 좁혀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학파가 현실에서 얼마만큼 영향력을 행사했는가, 혹은 다른 문인들이 얼마나 그 영향을 받았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어서 3장에서는 2장에서 상정한 개념들을 본격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北人계열 문인들의 계보와 지식권력의 다기한 양상을 추적하고자 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1절에서는 北人계열 문인들이 계승하고자 했던 지식권력의 기원에 대해 논의하였는데, 주로 花潭南冥學派를 중심으로 사상적 그리고 문학적인 측면에서 지식을 계승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2절에서는 대표성을 지니는 北人계열 문인 집단을 구획하여 학문적 전개 양상을 구조화함으로써 지식권력의 계승 양상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시문학을 통해 타당성을 입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에 이 글은 학문적 계보와 지식권력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여 다양한 후속 연구를 견인하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