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김묘정, 죽창(竹窓) 강주(姜籒)의 시세계 일고찰 –소북문단(小北文壇)과 관계(關係)하여, 2022.09

  • 작성자: admin(단국대)
  • 작성일: 2022.10.04
  • 조회수: 1474

논문제목 : 죽창(竹窓) 강주(姜籒)의 시세계 일고찰 소북문단(小北文壇)과 관계(關係)하여

 

저자 김묘정(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조교수)

 

등재지 인문연구 제100

 

발행처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주제어 : 죽창 강주 ; 소북 ; 소북문단 ; 두보 ; 장자 ; 도교 ; Jukchang(竹窓) Kangju(姜籒) ; Sobuk(小北) ; Sobukmundan(小北文壇) ; Dufu(杜甫) ; Jangja(莊子) ; Taoism(道敎)

 

<요약>

이 글은 16세기 小北文壇의 형성기에 자리하고 있던 竹窓 姜籒(1567~1651)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의 시세계를 확인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그에 따라 두 가지 측면에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는데, 먼저 죽창의 시문학관이 담긴 작품을 통해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시문학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다음으로는 시세계의 특징을 파악하는 동시에 그와 같은 양상을 小北文壇이라는 흐름 속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에 먼저 2장에서는 죽창의 삶과 문집을 개관한 후 竹窓集가운데 시문학관을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 목록을 추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3장에서는 죽창의 시문학관을 바탕으로 구현된 시세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는데, 3가지 지점에서 특징적임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는 杜甫 시에 대한 추숭과 唐風과의 관련성으로, 실제로 죽창이 지은 시와 문이 淸麗하고 奇逸하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으므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에 두보의 시구를 인용하여 시상을 전개한 경우, 특정 상황에 두보를 언급한 경우, 두보의 삶과 죽창 자신의 삶을 동일시 한 경우를 각각 확인하였다. 나아가 두보 시에 대한 추숭 면모는 당풍과의 관계 속에서 읽어낼 수 있으며 죽창의 師承 關係와도 연관성을 맺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는 莊子에 대한 애호와 花潭 학풍의 수용 양상을 살폈는데, 죽창이 秦漢의 글 가운데서도 莊子를 선호하였으며 이 같은 사실이 직접적으로 작품에서 확인됨을 밝혔다. 이는 단순히 莊子를 애호하는 데서 나아가 老莊思想에 대한 선호로까지 읽어낼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지점은 小北文壇에 영향을 끼쳤던 화담과 영향 관계를 맺는다는 점에서도 일면 의미를 지닌다. 세 번째는 신선 세계 묘사 그리고, 道敎와의 접점 양상을 논의한 것인데, 신선 세계에 대한 시어가 드러난 작품을 분석한 후 도교 경전 독서 취향을 밝히는 동시에 죽창이 신선 세계를 묘사하게 된 근원적인 이유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죽창의 이러한 면모를 小北계열 문인들의 학문적 개방성과 연결하여 논의하였다.

 

죽창의 시문학관과 시세계의 특징을 연결하여 살피는 이 같은 연구는 한 문인을 온전히 이해하는 방식인 동시에 향후 16~9세기 小北文壇의 흐름 속에서 소북계열 문인들의 시문학적 특징을 밝히는데 일조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