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김태훈, 통치 지식・이념의 전달 매체로서의 조선후기 국왕 행장(行狀), 2022. 8

  • 작성자: admin(단국대)
  • 작성일: 2022.09.02
  • 조회수: 1408

논문제목: 통치 지식・이념의 전달 매체로서의 조선후기 국왕 행장(行狀)

 

저자: 김태훈(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인문사회21 제13권 4호

 

발행처: 인문사회 21

 

주제어: 행장(行狀): 통치이념: 수기치인(修己治人): 왕도정치(王道政治): 조선후기

 

<요약>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조선후기 국왕의 전기・일대기인 국왕 행장이 통치에 활용되는 핵심적인 지식을 전달하고 통치이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였음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 자료에 대한 문헌분석 방법을 통하여 연구주제에 대한 역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 내용: 국왕의 행장은 조선후기에 들어서 왕권의 강화와 맞물리면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국왕 개인의 일대기를 넘어 매우 정치적이고 공적인 문헌으로서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국왕의 행장에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로 표현되는 유교적 윤리인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실천함으로써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추구하는 군주가 모범으로 제시되었다.

 

결론 및 제언: 조선후기 국왕 행장은 통치자의 공덕을 찬양하기 위한 문헌이 아니라, 축적된 통치 지식의 요체와 통치이념을 담고 있는 문헌으로서, 그 가치가 합당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