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한성구, 중국 근대시기 효 비판담론의 전개와 사상적 특징, 2022. 3

  • 작성자: admin(단국대)
  • 작성일: 2022.04.04
  • 조회수: 1726

논문제목 중국 근대시기 효 비판담론의 전개와 사상적 특징  

       

저자 : 한성구(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 유교사상문화연구 제87집    

        

발행처 : 한국유교학회          

          

주제어 filial piety ; critic of filial piety ; the May 4th New Cultural Movement ; equality ; philanthropy ; reciprocity ; The Book of Filial Piety; Confucius ; Neo-Confucius ; ; 비효론 ; 5.4시기 ; 평등 ; 박애 ; 상호주의 ; 효경; 공자 ; 신유가

           

<요약>         

동양에서 전통 윤리 덕목의 핵심을 이루는 는 전통적으로 모든 행동의 근본이라 하여 인륜의 으뜸 덕목이자 도덕의 발단으로 여겨져 왔다. 그렇지만, 효의 함의는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라 시대를 거치면서 끊임없이 변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에서 효 관념이 변천해 온 과정을 짚어보고, 특히 근대에 효 비판론이 나오게 된 배경과 5.4시기 비효론자들의 핵심 주장을 살펴봄으로써 효의 현재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5.4시기 효 비판론자들은 부모-자식의 관계를 시혜와 수혜의 관계로 보는 것에 반대하고, 사랑과 평등을 주장했으며, 전통 효행 사적 가운데 비상식적인 것을 비판했다. 또한, 현대 생활에 맞지 않는 것도 비판했으며, 친친(親親)을 반대하고 박애(博愛)를 주장했다. 효는 봉건 전제 시기의 산물이기 때문에 중국 사회에 큰 해악을 입혔다고 비판했으며, 부모에 대한 자식의 일방적인 희생만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효가 주요 가치로 기능하는 가족 본위를 반대하고 국가 본위를 주장했다.

 

5.4시기 비효론자들은 전통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사상의 수혈, 시대정신의 창조라는 시대적 임무를 가지고 전통 덕목 가운데 대표적인 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키울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그들이 의 본질적 의미까지 철저하게 부정한 것은 아니었고, 그들의 운동이 근대적 전환기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어 주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의 본질을 다시 고찰하고 그 의미를 성찰함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에 어떤 내용과 정신을 담아야 할지 고민하는 것은 현대 지식인의 공통 임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