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김경남, 국역 해행총재를 통해 본 지식 교류의 두 층위 , 2021.11

  • 작성자: admin(단국대)
  • 작성일: 2021.11.19
  • 조회수: 4544

논문제목 국역 해행총재를 통해 본 지식 교류의 두 층위

  

저자 : 김경남(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 지역과 역사 49호 


   

발행처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주제어 the GUKYEOK(Korean translation) HAEHAENGCHONGJAE(國譯海行摠載) ;  Knowledge Exchange ;  Record of the Diplomatic Mission(使行記錄) ;  Fatigue-drift Record(被虜·漂流記錄) ;  Vitality ;  국역해행총재 ;  지식 교류 ;  사행 기록 ;  피로·표류 기록 ;  생동감.

      

<요약>    

이 글은 국역해행총재를 대상으로 시대 상황에 따른 지식 교류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 작품을 사행 기록과 피로·표류 기록으로 나누어 공식적인 절차를 밟아 이루어지는 지식 교류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지식 교류의 두 층위가 갖는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해행총재는 조선 후기 일본 사행 기록(일기)을 모아 엮은 책으로 조엄의 해사일기에 따르면 洪啓禧가 처음 편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徐命膺의 식파록이 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이 두 종류의 책은 그 실체를 알 수 없고, 또 월봉해상록이 간행될 당시 조엄이 쓴 ‘발문’에서는 그 당시 윤봉조가 일본 사행 기록을 모아 해행총재를 편찬했다고 하나 이 또한 실체를 확인하기 어렵다. 그 이후 1914년 조선고서간행회에서 해행총재 4책을 간행하였으며, 1975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다수의 작품을 추가하여 이를 국역하였다. 이 점에서 국역해행총재는 조선시대 한일 지식 교류의 양상과 특징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지식 교류의 두 층위를 고려할 때 사행단과 피로·표류 기록은 공식성과 체험의 생동감 여부에서 차이를 보인다. 국역해행총재를 통해 볼 때, 근대 이전 일본과의 지식 교류에서 ‘사행단 기록’은 공식성을 띠며 그를 통한 서적 유입 등의 지식 유입이 이루어지는데 반해 ‘피로·표류 기록’은 격식적인 면보다 체험을 바탕으로 한 생동감이 잘 나타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