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김경남, 지식의 유형과 국어과의 지식 범주,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18.05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18.05.20
  • 조회수: 529

  논문제목 : 지식의 유형과 국어과의 지식 범주

 

  저자 : 김경남(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2

 

  발행처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주제어 : 지식, 유형, 교육과정, 구조, 범주, 가치

 

  <요약>

  이 연구는 지식의 정의와 유형에 대한 개념적 접근으로부터 지식사회학의 관점에서 국어과 교육과정의 지식 유형과 구조에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식 교육의 가치와 한계를 논의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하였다. 

  지식은 철학 분야에서 시작하여 모든 학문 분야로 확산된 개념인데, 심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지 또는 그 결과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된다. 지식의 유형은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성을 띠나 국어과에서 사용하는 지식 유형은 ‘명제적(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다. 이 유형에 따른 지식이 체계화된 것은 제7차 교육과정부터로 볼 수 있는데, 이 교육과정에서는 영역별 ‘본질-원리-태도’를 범주화하여 ‘실제’에 적용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 범주에 나타난 ‘본질’과 ‘원리’는 지식 범주에 해당한다. 2007 교육과정의 ‘실제’ 범주에 대한 ‘지식-기능-맥락’의 구조화를 비롯하여 2015교육과정까지 지식이 국어과의 범주에서 배제된 적은 없었다. 그럼에도 지식 교육무용론이자 지식 교육의 한계를 비판하는 지적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데, 2015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 일반화된 지식 ? 내용 요소 ? 기능’의 재구조화가 기존의 지식 담론과 이론상 일치하지 않는 점과 같이, 국어과에서의 지식 교육은 그 나름대로 가치를 갖고 있으면서도 적지 않은 한계를 갖고 있는 분야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 유형론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