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제목 : 숙종대 몽고?러시아에 대한 知識?情報 분석 -청과 몽고?러시아간의 交戰 정보를 중심으로-
저자 : 김우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보조원)
등재지 : 「인문학연구」 37
발행처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주제어 : 몽고, 러시아, 청, 강희제, 갈단, 숙종, 大鼻?子, 太極?子, Mongols, Russia, the Qing Dynasty, the Kangxi Emperor, Galdan Khan of the Dzungar Khanate, King Sukjong
<요약>
삼번의 난을 평정한 이후 청은 청의 發祥地를 넘보려는 동북의 러시아와 청으로 세력을 확대하려는 서북의 몽고 갈단[?爾丹]을 상대해야 했다. 강희제는 무기와 물자를 공유하며 청을 압박하는 이들을 상대로 전쟁을 전개해나갔다.
이러한 청의 대 몽고 · 러시아 분쟁 동향은 즉각 조선에 전해졌고, 사행단들은 적극 정보를 수집하며 사태를 파악했다. 청이 중원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청 대 러시아 · 몽고 전쟁은 일면 조선과는 아무 관련이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청의 동향에 따라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는 조선으로서는 이 분쟁에 직간접적으로 휘말리며 치열한 정보전을 펼쳤다.
그 결과 숙종대 조선이 입수한 정보는 청과 몽고 · 러시아 전쟁에 관한 ‘현상 전달’에 있어서 질적으로 상당히 우수했다. 비록 지역, 시기, 인물, 수량 등 구체적인 사항들은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으나, 전시 전개라는 전반적인 큰 흐름은 비교적 정확했다.
반면 러시아 · 몽고의 존재에 관해 형성된 ‘지식’에 대해서는 오류를 드러냈다. 이는 정보 입수의 물리적 · 정서적 · 지리적 제한과 정보제공자의 한계가 주요 원인이었다. 나아가 청에 대한 적개심과 청의 멸망을 바라는 기대심리 속에 몽고와 러시아의 세력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여 청이 멸망할 것으로 전망하는 오류를 범하게 되었다.
[16890]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152 단국대학교 상경관 317호·527호·530호
TEL.031.8005.2667
FAX.031.8021.7244
MAIL.hkplus@dankoo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