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구논문

허철,동아시아 지식 지형 연구 기반을 위한 어휘 비교 연구 방법론의 문제와 개선 방안 연구, 대동한문학, 2018.09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18.10.15
  • 조회수: 516

논문제목 : 동아시아 지식 지형 연구 기반을 위한 어휘 비교 연구 방법론의 문제와 개선 방안 연구

 

저자 : 허철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등재지 : 대동한문학56

 

발행처 : 대동한문학회

 

주제어 : 한자어, 한자, 어휘, 동아시아 어휘, 한자문화권, Han-character, Sino-asian words, East Asian vocabulary, Chinese character culture, Sino-sphere

 

<요약>

漢字漢字語는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지식 교류의 기초 요소이다. 한자가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기본 문자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자는 언어 기록의 측면에서 볼 때, 단음절사로서 모든 문어의 기본이 되었다. 한 편 표의문자로서의 한자는 속성적 한계로 인해 先秦시대부터 이미 다음절 사(어휘)의 사용되었다. 한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만큼 두 개 이상의 한자가 결합된 한자 어휘의 증가도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언어 사용 초기에는 한자의 증가가 많았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오히려 한자 어휘의 증가 속도가 늘어났다. 한자는 동일성이 강하지만, 한자어는 특수성이 강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한자와 한자어, 한문 등의 공통적 문자와 어휘, 문어 생활은 근현대 이전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개별 국가와 민족의 언어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문 헌 유통이 가능하게 하는 기초가 되었다. 개별 국가나 민족마다 한자음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한자의 기본적인 의미나 사용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한편 근대 이후 다수의 한자 어휘가 중국과 일본, 베트남, 한국 등에서 개별 생성되면서 어휘 구성과 사용에 있어 상이성은 더욱 증대하였다. 상이성 의 증가는 지식 유통에 있어 부정적 전이 현상의 가능성을 높였다. 다시 말해, 개별 국가나 민족마다 사용하는 어휘를 비교해 보면 동형동의어보다 동형이의어의 사용이나 이형동의어의 사용이 존재하였고, 이러한 객관적 사 실은 중국어와 일본어, 베트남어, 한국어 사이의 이질성을 증가시켜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어려움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하지만 한자문화권의 언어는 이러한 상이성만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주지하듯 한중일월 국가의 언어에는 여전히 발음만이 다른 동형동의어가 상당수 존재하고 있다. 이상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한중일월 어휘 비교에 관한 정의와 분류, 그 차이에 대한 선행 연구는 여전히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본고는 특히 연구 방법론에 있어 새로운 제안을 하였다. 종래의 한 국가에서 사용되는 어휘를 대상으로 다른 국가의 사전에서 어휘를 검색하는 방법이 유효한 연구 방법론이 아님을 지적하고, 한중일월 모든 국가의 언 어 속에 사용되는 어휘를 객관성과 과학성을 유지하면서 비교 검토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준이 되는 모종의 언어 어휘를 중심으로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TOP